사람 간에 서로 감정이 극도로 예민해져 있거나, 서로 흥분되어 있을 때, 지혜로운 방법은 어떻게 해서든 그러한 감정과 분위기를 식히는 것이다. 그렇지만 어리석은 사람들은 화가 난 상대방 앞에서 오히려 상대방을 더욱 자극하여 상대방에게 예기치 않은 행동이 나오도록 유도하는 경우들도 많이 있다.
서울특별시 소방방재본부에 따르면 과거와 다르게 부부싸움 중, 배우자에게 상해를 입히거나 살인을 하는 극단적인 과격 양상을 띠는 현상이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 가지 예로 부부싸움 중 거실에 석유나 휘발유 등 기름을 붓고 불을 지르거나 가스를 터뜨리는 방화 또는 투신 유형이 급증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개 이런 경우 분노가 치밀어 오르는 남편이 아내의 기를 꺾기 위해서 또는 위협을 통해 상대를 굴복시킬 의향으로 석유를 뿌리고 라이터를 켜는 시늉을 하게 된다.
이성이 마비된 상태에서의 이런 행동은 매우 위험할뿐더러 ‘어리석다!’라고 말할 수 없이 악한 행동이다. 이쯤 되면 아내는 다툴 때가 아님을 알고 분위기를 진정시켜야 한다. 분노가 극에 달한 사람 앞에 있음으로써 상대를 더욱 자극한다고 생각되면 밖으로 나가 눈에 보이지 않음으로써 분노를 잠재울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적지 않은 사람들은 분노가 극에 달한 상대방 앞에서 꼬박꼬박 말대답하거나 상대를 더욱 감정적으로 자극해서 전혀 생각지도 않았던 사건을 일으키는데 도화선의 역할을 하는 예도 있다.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여러 갈등은 그 양상에 따라 해결 방법이 다르다. 어떤 경우에는 대결로 해결해야 하는 것들도 있고, 어떤 경우는 회피하는 것이 지혜로운 방법일 수도 있으며, 또 때에 따라서는 지연시킴으로써 문제가 수월하게 풀릴 때가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서로의 감정이 격해졌을 때는 당연히 회피를 통해서 일단 분위기를 가라앉힌 후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이미 이성을 잃은 상대방에게 더 큰 피해, 예상치 못한 극단적인 행동이 나타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당사자들은 물론, 온 가족들에게 커다란 피해와 상처를 입히게 될 뿐이다.
그래서 옛날 어머니들은 자식이 잘못하여 아버지로부터 심한 체벌을 당할 때, 매 맞는 자식을 끌어내어 밖으로 내보낸 후, 아버지의 감정이 수그러지면 그때 집으로 데리고 들어 온 일이 흔히 있었다.
구약성서 창세기에 보면 야곱이 자신의 형에게 장자명분을 가로채고 축복을 받은 후 형을 분노케 했을 때, 형이 야곱을 죽이려고 했다.
이때 엄마 리브가가 야곱을 도피시키면서 이렇게 말했다.
‘내 아들아, 라반에게 피하여 네 형의 노가 풀리기까지 몇 날 동안 그와 함께하거라 네 형의 분노가 풀려 네가 자기에게 행한 것을 잊어버리거든 내가 곧 보내어 너를 거기서 불러오리라’고 말했다. 이것은 전형적인 ‘수면자 효과’를 의도한 것이다.
많은 경우에 사람들은 자신이 기분 나쁜 일을 당했을 때, 물론 쉽게 잠을 잘 수 없겠지만, 잠을 자고 나거나 시간이 지나면 그 당시의 감정이 다소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을 뜻하는 용어가 바로 ‘수면자 효과’라는 말이다.
일이 잘 안 풀릴 때 잠시라도 여행을 하고 나면 그것이 문제로 보이지 않고, 잘 극복되는 경우가 있을 뿐만 아니라, 좋은 아이디어도 생각나게 된다. 심리적으로 커다란 충격을 받았다고 할지라도 시간이 지나면 해결되는 문제가 사실상 많이 있는데 이것도 ‘수면자 효과’에 해당한다.
구약성서 이사야서에도 보면 ‘내 백성이 갈지어다. 네 밀실에 들어가서 네 문을 닫고 분노가 지나기까지 잠깐 숨을지어다’라고 했다. 물론 근본적으로 문제를 치유하는 약은 아니겠지만 어떤 경우에는 유행가 가사처럼 ‘세월이 약’이 되는 일도 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완성 효과[Zeigarnik effect] 심리에 대한 정보 (0) | 2019.11.06 |
---|---|
자존심 고양 효과[Self-Esteem Enhancing effect] 심리에 대한 정보 (0) | 2019.11.06 |
단순 접촉 효과[Simple Contact effect] 심리에 대한 정보 (0) | 2019.11.06 |
낙인 효과 [Stigma effect ] 심리에 대한 정보 (0) | 2019.11.06 |
피그말리온 효과 [Pygmalion effect] 심리에 대한 정보 (0) | 2019.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