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마스킹 효과[Masking effect] 심리에 대한 정보

Jini.kim 2019. 11. 13. 17:01

<마스킹 효과 이미지>

카페나 레스토랑에서 친구와 이야기를 할 때, 여기저기서 소란스러운 잡음이 들리는데도 불구하고 뜻밖에 주위를 조용한 것으로 느낀 적이 있을 것이다. 주의해서 잘 살펴보면 옆 테이블에서 웃는 소리, 청춘 남녀가 사랑을 속삭이는 소리, 시끄러운 음악 소리, 손님과 종업원이 나누는 이야기, 주방에서 들리는 접시 부딪치는 소리 등 우리는 주변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잡음 속에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소곤소곤 작은 소리로 이야기하지만 잘 알아들을 수 있는 것을 일컬어 마스킹 효과라고 한다. 이는 어떤 감각이 다른 감각을 지워 버리는 것을 일컫는 효과를 의미한다.

 

마스킹 효과는 이야기를 할 때 온갖 주의를 집중하고 있어서 주위의 여러 가지 소란에도 불구하고 거기에는 신경이 쓰이지 않고 상대방의 말을 경청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이는 마치 칵테일 파티 효과와 맥락을 함께하는 개념이다. 시끄러운 파티장에서도 상대방의 말을 잘 알아들을 수 있게 되는 것에서는 유사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불면증이 있는 사람은 사소한 소리에도 잠을 이루지 못한다. 시계 소리, 바람이 창문을 스치는 소리, 차 지나가는 소리, 아파트 복도 계단으로 사람이 지나가는 소리 등이 잠을 방해한다. 이럴 때 많이 이용하는 방법이 아주 느린 박자의 배경음악을 틀어놓고 자는 것이다.

 

이 음악으로 인해 잡다한 소음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세기나 진동수가 다른 두 가지의 음이 동시에 존재할 때, 귀에는 어느 하나의 강한 음이나 고음이 들리며 그보다 작거나 약한 음은 은폐되는 작용을 설명한다.

 

이런 마스킹 효과를 이용하여 이비인후과 또는 신경외과 환자들 가운데 이명을 치료하기도 한다. , 귀에서 귀뚜라미나 매미 우는 소리, 바람 소리, 물 흐르는 소리, 냉장고 모터 돌아가는 소리 등과 같이 원하지 않는 소리가 들린다 하여 괴로워하며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대개는 노년에 청각에 이 상이 발생한 경우이거나 청신경에 손상을 입어 이런 증상을 호소하는 것이다. 노년에 발생하는 이명은 어떤 의미에서 보면 질병이 아닌 것은 아니지만, 노화의 자연스러운 과정이며 현상 가운데 하나라고도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젊은이들에게서 귀에 이상한 소리가 난다고 호소하는 경우에는 질병이므로 치료를 받아야만 하는 상황이다. 이것을 치료하는 방법 가운데 매우 간단한 것은 바로 마스킹 효과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명 증상은 실제로 물리적 소리가 들린다기보다는 청신경의 어떤 문제로 인해 계속 들리게 되고, 점점 더 크게 들리는 것처럼 느끼게 되며, 온 신경이 여기에 집중되어 편안한 잠을 잘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 커다란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특히 밤에 조용한 시간에 소리가 들리게 되면 이 소리 때문에 잠을 자지 못하는 사람들도 많이 있다. 이런 사람들은 극도로 불안하고, 긴장되어 있어서 병원에서는 이럴 때 은행잎에서 추출한 혈액 순환제와 신경안정제 등을 처방하여 긴장을 완화하게 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 소리는 실제로 물리적 소리처럼 데시벨로 측정할 수 있어 귀에서 들리는 소리보다 약간 더 큰 소리의 음악을 듣게 되면 조금 전까지만 해도 이명으로 인해서 괴로워하던 사람도 감쪽같이 소리가 들리지 않게 된다.

 

사실 소리가 사라졌다기보다는 더 큰 소리로 작은 소리를 은폐시킨 심리적 효과라고 보아야 한다. ‘마스킹 효과는 청각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미각, 후각, 시각 등에 있어서도 일어난다. 싫어하는 맛을 제거하기 위해서 조미료나 향료를 첨가하여 맛을 바꾸거나, 싫어하는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서 향수를 사용하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